상단영역

본문영역

연화지 풍경에서 꺼내 듣는 그의 목소리

못 속에 담긴 하늘처럼, 호중의 발자취도 푹 적셔져 있는 연화지였다.

  • 입력 2022.08.02 09:00
  • 수정 2022.08.02 11:25
  • 기자명 김광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천 연화지
김천 연화지

‘겨자씨 속엔 눈폭풍이 뻐꾹 소리 속엔 먼 산이’
최정례(1955-2021) 시인이 쓴 시의 한 대목이다. 시인은 겨자씨를 보면 눈폭풍을 상상했지만 아둔한 보통 사람도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고 느끼지는 않는다. 오래된 사물과 풍경, 처음 보게 된 것이라 해도 애정이 듬뿍 담긴 것들과 무수한 대화를 주고 받는다. 우리가 아직 말을 배우기 전 세상을 이해하고 받아들인 언어를 통한 대화다. 말을 배우면서 이미 버렸다고 생각한 그 원시의 언어는 우리가 자각하지 못할 뿐 어쩌면 계속 우리 속에 남아 생각과 정서를 향해 말보다 더 강력한 주파수를 쏘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말로는 못할 말이 있고, 말로 다 형언할 수 없지만 명백히 느껴지는 것들이 있다. 말 이전의 언어 혹은 말과 또 다른 내면의 언어가 작동하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아닐까. 김호중의 팬들에게 연화지는 그 자체로 언어다. 김호중이 산책하던 곳이고, 연화지를 둘러싼 건물 중에는 그가 자취하던 원룸도 있다. 김호중이 자취를 했던 원룸 창가에서 내려다 보면 벚나무의 정수리가 내려다보이고 멀리 김천 예고도 눈에 들어온다. 그의 눈길이 닿았던 풍경들, 기분 좋은 여름밤의 소음, 연화지를 휘돌아 내닫다가 열린 창으로 와락 달려들어 그의 얼굴을 훔쳤을 바람 한 점 모두 말로는 다 못 할 언어가 되어 머물다 팬들에게 말을 걸어온다. 여름 오후의 햇살만큼이나 느직하게 걸으며 연화지의 풍경을 필름 카메라로 담았다. 그의 시선이 머물렀을 법한 풍경을 고르고 골랐다. 연못물을 한입 머금고 바람에 슬렁슬렁 어깨를 흔드는 연잎에 그의 ‘고맙소’가 황금빛 햇살이 비낀 봉황대 계단에서 그의 ‘천상재회’가 들려오기를 소망하면서.

그 옆 수많은 사람이 지나다니는 연못 다리. 내리쬐는 햇살 덕에 더욱 운치 있는 것 같다.
그 옆 수많은 사람이 지나다니는 연못 다리. 내리쬐는 햇살 덕에 더욱 운치 있는 것 같다.
호중의 집에서 그의 창문으로 바라보던 경치와 많이 닮았다. 드높은 하늘, 넓은 못, 좋은 공기.
호중의 집에서 그의 창문으로 바라보던 경치와 많이 닮았다. 드높은 하늘, 넓은 못, 좋은 공기.

 

저작권자 © 대구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