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무선통신 기반 전자피부 개발

  • 입력 2017.07.10 00:00
  • 기자명 정광진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격진료 및 치료 한발 앞으로 성큼

피부에 붙인 전자피부에서 수집한 심장박동수 등 생체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보여주고 있다. 디지스트 제공

 

장경인 디지스트 로봇공학전공 교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디지스트) 연구팀이 반창고처럼 피부에 붙여 심장박동수 등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스마트폰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전자피부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디지스트 로봇공학전공 장경인 교수 연구팀은 미국 일리노이대 존 로저스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식물의 넝쿨 구조를 모방한 전도선을 활용한 무선통신 기반 전자피부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건강진단과 원격진료, 치료에 획기적인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개발한 전자피부는 심장박동 혈압 심전도 등 인간의 생체신호 수집에서부터 저장, 분석, 외부 기기로의 무선통신까지 가능한 것으로,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 센서, 안테나 등이 포함된 상용 집적회로소자와 연구팀이 새롭게 고안한 스프링 구조의 고신축성 전도선, 초연성 재질의 신소재를 활용했다.

상용화된 집적회로소자를 전자피부에 활용하려는 시도는 많았으나, 딱딱한 재질의 집적회로소자를 높은 신축성이 필요한 전자피부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소자를 전기적으로 이어주는 신축성이 높은 전도선이 필요해 아직까지 구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디지스트연구팀은 금속과 폴리머 복합재료를 사용해 식물 넝쿨의 구조를 기하학적으로 모사한 초신축성 전도선을 고안 및 개발했으며, 이를 활용해 집적회로소자가 내장된 고신축성 전자피부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한 전자피부는 얇고 부드러우면서도 별도의 접착제가 없이도 붙일 수 있다. 하나의 독립된 컴퓨터처럼 작동하기 때문에 생체신호의 수집, 분석, 저장이 가능하며 무선통신으로 휴대전화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해 건강 정보를 진단할 수 있다.

장경인 교수는 “무선통신 기반 전자피부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해 언제 어디서나 건강 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하는 의료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며 “앞으로 도서산간 지역이나 의료 사각지대에 있는 환자들의 원격 진료 및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활용 가능한 전자피부 시대를 열고 싶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정광진기자 kjcheong@hankookilbo.com

저작권자 © 대구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